안녕하세요~!
비가 엄청나게 오더니 기온이 갑자기 뚝 떨어졌네요
최근 사입했던 식물 중
눈에 유난히 띄는 식물인 거북이 알로카시아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거북이 등껍질 모양을 한 거북이 알로카시아
사실 이 식물의 이름은 알로카시아 아마조니카 입니다.
하지만 거북이알로카시아로 우리나라에서는
더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저는 항상 알로카시아 종류는 키우다가 실패한 적이
많았던 것 같지만, 제대로 다시 파악하고 키워보려 합니다.
잎 색상과 무늬가 정말 매력적인 식물입니다.
유난히 저런 줄기를 가진 식물이 저랑 안맞는 건지
아프곤 했었습니다.
그럼 더 이상 실패는 없도록 알아보겠습니다!
1. 거북이 알로카시아 소개
영어권 국가에서는 거북이 알로카시아가 아닌,
코끼리귀 알로카시아로 불려집니다.
문화권에 따라 명칭이 다른 게 참 재밌습니다.
학과명은 천남성과 / 학명은 AlocasiaSchot
영명은 Alocasia amazonica
이 식물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 입니다.
식물에 있어서 원산지를 보면 어느 정도
키우는 방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식물은 독특한 잎의 무늬 때문인지
영국 왕립 원예학회 정원 공로상(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s Award of Garden Merit)를 받았다고 합니다.
2. 거북이 알로카시아 생장온도
거북이 알로카시아는 위 언급한 대로
동남아시아 원산지로 1년 내내 20도 대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고온다습한 열대 기후에서 나타났습니다.
또한 우기가 길어 비가 굉장히 많이 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거북이 알로카시아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적합합니다.
온도는 24~28도가 적합하며
습도는 80~90%로 습한 기온이 좋습니다.
3. 거북이 알로카시아 햇빛
거북이 알로카시아는 반음지 식물입니다.
반음지 식물이라고 해서 햇빛이 아예 없는 곳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던데.. 안됩니다!
반음지는 완전 어두운 곳이 아닌 환한 실내 혹은
실내등이 있는 곳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음지 식물이니 직사광선은 안좋습니다.
환한 실내에 두시면 잘자라는 식물입니다.
4. 거북이 알로카시아 물주기
거북이 알로카시아 물주는 방법!
고온다습한 환경이라 물을 많이 주신다고 생각하시먄 안됩니다.
습한걸 좋아한다는 건 공중 습도가 높은 걸 좋아하는 거라
흙의 습도가 높으면 과습으로 갑니다.
통풍을 잘 시켜주시고 잎의 윤기나 두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물이 필요한지 안필요한지
잎을 보고 확인하는 게 어려우시다면
흙을 찔러서 마름 정도를 확인 후 관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거북이 알로카시아 적합한 흙
배수가 잘되는 흙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사나 펄라이트를 적정 양 혼합하여
화분에 심는 것이 과습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흙 산도도 5.5~6.0 ph가 적합하기에
맞는 흙을 잘 골라서 심으시면 되겠습니다.
6. 거북이 알로카시아 겨울나기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다보니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알로카시아에게
가장 취약한 계절이 겨울이 아닐까 싶습니다.
20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시켜주셔야하며,
거실에 두고 건조하지 않도록
가습기 혹은 공중 분무를 수시로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겨울은 휴면기에 가깝기 때문에
물을 주는 주기를 길게 해주시고
물 양도 줄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7. 거북이 알로카시아 병충해
거북이 알로카시아는 실내에서 키우는 편이다보니
환기가 잘 되지 않으면 병충해가 생기기 쉽습니다.
건조하면 응애가 생기는 편이라 습도도 챙겨주시고
잎도 주기적으로 닦아주시면서 통풍도 잘 해주신다면
병충해는 생기지 않겠습니다.
8. 거북이 알로카시아 번식
거북이 알로카시아는 물꽂이 번식이 가능합니다.
가지치기 후 물꽂이 하시면 뿌리가 내린답니다.
뿌리가 나오면 흙에 심어주시면 됩니다.
보통은 오도라 종이 가장 많이 유통되며,
키워보니 과습에 취약한 편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도기 화분보다는 토분에 심는 것이 더 관리에
용이하겠습니다.
약간 바다 느낌이 나는 식물이라
여름에 은회색 화분에 심어 키우시면
홈 인테리어에도 매력적일 것 같습니다.
오늘은 거북이 알로카시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귀여워서 선물하기도 좋고 키워보고 싶은 욕심이 나는
거북이 알로카시아!
필요하신 정보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그럼 꽃샘추위 조심하시고 행복한 한 주 보내세요!
'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식물 | 아스파라거스 메이리 키우기 (5) | 2024.10.17 |
---|---|
오늘의 식물 | 애니시다 키우기 (0) | 2023.03.26 |
오늘의 식물 | 목마가렛 키우기 (0) | 2023.03.10 |
오늘의 식물 | 트리안 키우기 (0) | 2023.03.06 |
오늘의 식물 | 필레아페페 키우기 (0) | 2023.03.02 |